DHCP & BOOTP & RARP
RARP (Reverse Address Resolution Protocol)
RARP는 근거리통신망 내에 물리적으로 존재하는 장치가 게이트웨이의 ARP 목록이나 캐시로부터 자신의 IP 주소를 알아내기 위한 확인 요청을 하는데 사용되는 프로토콜이다. 네트웍 관리자는 근거리통신망의 게이트웨이 라우터 내에 물리적인 장치가 그에 상응하는 IP주소를 지칭하도록 목록표를 작성한다. 새로운 장치가 설정되었을 때, RARP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은 라우터 상의 RARP 서버에게 그 장치를 위한 IP 주소를 보내주도록 요청한다. RARP 서버는 라우터 목록 내에 새로운 엔트리가 설정되었다고 가정하여, 그 장치에게 IP 주소를 답신해 주게 된다.
RARP는 이더넷, FDDI, 토큰링 등의 근거리통신망에서 사용할 수 있는 프로토콜이다.
DHCP (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DHCP[디에이치씨피]는 네트웍 관리자들이 조직 내의 네트웍 상에서 IP 주소를 중앙에서 관리하고 할당해줄 수 있도록 해주는 프로토콜이다. 인터넷의 TCP/IP 프로토콜에서는, 각 컴퓨터들이 고유한 IP 주소를 가져야만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다. 조직에서 컴퓨터 사용자들이 인터넷에 접속할 때, IP 주소는 각 컴퓨터에 반드시 할당되어야만 한다. DHCP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각 컴퓨터마다 IP 주소가 수작업으로 입력되어야만 하며, 만약 컴퓨터가 네트웍의 다른 부분에 속한 장소로 이동되면 IP 주소를 새로이 입력해야 한다. DHCP는 네트웍 관리자가 중앙에서 IP 주소를 관리하고 할당하며, 컴퓨터가 네트웍의 다른 장소에 접속되었을 때 자동으로 새로운 IP 주소를 보내줄 수 있게 해준다. DHCP는 주어진 IP 주소가 일정한 시간동안만 그 컴퓨터에 유효하도록 하는 "임대" 개념을 사용한다. 임대시간은 사용자가 특정한 장소에서 얼마나 오랫동안 인터넷 접속이 필요할 것인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DHCP는 사용자들이 자주 바뀌는 학교와 같은 환경에서 특히 유용하다. DHCP는 사용 가능한 IP 주소의 개수보다 더 많은 컴퓨터가 있는 경우에도 IP 주소의 임대시간을 짧게 함으로써 네트웍을 동적으로 재구성할 수 있다. DHCP는 영구적인 IP 주소를 필요로 하는 웹서버에 대해서는 정적인 주소를 제공한다. DHCP는 네트웍 IP 관리 프로토콜인 BOOTP의 대안으로 사용된다. DHCP가 더욱 진보된 프로토콜이지만, 두 개의 프로토콜 모두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어떤 조직에서는 두 개의 프로토콜 모두를 사용하지만, 동일한 조직에서 그것을 언제, 어떻게 사용할지를 이해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윈도우NT와 같은 몇몇 운영체계에는 DHCP 서버가 딸려 나온다. DHCP 또는 BOOTP 클라이언트는 네트웍이 구성될 수 있도록 각 컴퓨터에 위치하는 프로그램이다. |
BOOTP (Bootstrap Protocol) ; 초기 적재 통신 규약
BOOTP는 네트웍 사용자가 자동으로 구성되고(IP 주소를 받게), 사용자의 간여 없이도 부트되는 운영체계를 가지고 있게 해주는 프로토콜이다. X 터미널 등과 같이 하드디스크를 갖지 않은 장치의 설정 정보를 자동적으로 할당, 관리하기 위해서 개발되었다. 네트웍 관리자에 의해 관리되는 BOOTP 서버는, 일정 시간동안 IP 주소를 자동으로 할당한다. BOOTP는 좀더 진보된 네트웍 관리 프로토콜인 DHCP의 기반이 된다. BOOTP vs DHCP
BOOTP/DHCP의 유사성BOOTP와 DHCP의 관계로 인해 두 프로토콜 모두 일부 정의 특성을 공유합니다. 공통 요소는 다음과 같습니다.
BOOTP/DHCP의 차이점 BOOTP와 DHCP에서 호스트를 구성하는 방법에는 상당한 차이가 있습니다. 다음 표에서는 서로 다른 두 프로토콜의 기능을 비교하고 대조합니다.
|
RARP : 이더넷 카드에 직접 접근하여 IP를 알아냄. IP세션만 이용
MAC계층과 물리계층에서 IP계층으로 통신
BOOTP : UDP 세션을 이용하여 IP를 알아냄. 크기도 작아 응용프로그램과 함께 사용될 수 있음.
네트워크상에서 BOOTP는 IP를 모든 워크스테이션에 Broadcasting 함.
UDP세션을 사용하기 때문에 신뢰성 보장을 위하여 시간제한을 둠